통사적, 형태소적 수준에서 본 것처럼 단어에 대한 소리 표상이 만들어지는 방식에 대한 단서가 되는 음소적 오류 형태의 규칙성도 다수 있다. 가장 중요한 규칙성 중 하나가 자음-모음 규칙이라고 알려진 것이다. 자음은 다른 자음 대신에 사용되고, 모음은 다른 모음 대신에 쓰인다. 이 규칙이 시사하는 바는 발화의 음운론적 형식을 계획하는데 모음과 자음이 별도의 단위로 표상된다는 것이다. 이 단어 수준에서 오류는 같은 통사적 범주에서 나오는 단어들에게서 생기기 때문에 통사적 범주들이 별도의 단위로 표상된다는 것과 아주 비슷한 생각이다
음소에서 또 다른 중요한 규칙성은 우리가 단어의 소리를 엮어낼 때 음운론적인 규칙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반영해주고 있다. 실언을 할 때까지도 결과로 나오는 소리는 그 언어의 음운론적 규칙을 따른다. 단어를 말하든 비단어를 말하든 그 언어에 합법적인 소리의 조합으로 산출한다는 것이다. 말하는 이가 물리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하지만 언어에서는 생기지 않는 소리의 조합을 실언의 예로 관찰할 수는 없다.
음소적 오류의 세번째 규칙성은 발화의 음운론적 형식을 계획하는 일에는 한 단어 내부의 음소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기제까지 포함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이다. 사실, 사람들은 한 단어의 처음과 끝이 바뀌는 말실수를 저지르지 않는다. 음운적 오류의 체계적 성질을 설명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한 단어의 소리가 통사적 틀을 비슷한 음운적 틀이라는 기제를 사용하여 조립된다고 제안하였다. 음운적 틀은 한 단어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자음과 모음의 연결을 명세화하고 우리는 그 틀에서 적절한 끼움새에 음소를 기움으로써 그 단어를 산출한다
단어 dog에 대한 음운적 틀은 이것이 하나의 음절이며 첫 소리는 짜음이고 음절의 각운음 모음-자음 연결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이 틀에 있는 끼움새가 활성화된 음소들로 채워지면 의도된 단어를 발성할 준비가 된 것이다
당신이 The dog sat on the log pile (그 개는 통나무 더미 위에 앉아 있다)라고 말하려고 하는데 The log sat on the log pile(그 통나무는 통나무 더미 위에 앉아 있다)라고 말했다고 해보자 당신이 단어 수준에서 문장을 계획할 때, dog와 log는 어휘집에 모두 활성화되어 있다 따라서 d와 l소리는 dog를 위한 소리를 조립하려는 음운론적 틀의 첫 끼움새에 들어가는 데서 경함 한 것이다.
Sevald와 Dell(1994)은 사람들에게 서로 비슷하지만 첫 음소가 다른 단어 쌍을 반복해서 말하도록 하면 음소 오류를 만들어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런데 pick-tick을 말하려고 할 때 이들은 pick-pick이라고 말하게 되었다. 두 단더의 첫 위치 소리가 비슷하면 이 효과가 가장 강력했다. 이는 음소들이 음운적 틀의 특정 위치를 점하고자 서로 경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는 언어를 산출하는 동안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적 계획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봤다. 이제 문제는 통사론에서 음운론까지의 각 수준이 단원적인 방식으로 작용하는지 아니면 연결주의 그물망에서 본 것 처럼 나중 수준이 먼저 수준으로 되먹임 반응을 하는지 하는 것이다. 활성화된 일단의 음소들이 음운적 틀에 들어가는 데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통사적 틀에 어휘 항목들이 들어가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이 문제는 산출 체계가 조직화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 말해주는 것이라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각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사실들과 달리 서로 다른 수준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관한 많은 논란이 있다.
말소리 산출 체계가 조직화된 방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Levelt와 동료들은 사람들에게 그림을 보여주고 그 이름을 말하도록 하면서 일부 시행에서 말소리로 단어를 제시해주었다. 이런 시행들에서 참여자들은 그림의 이름을 말하기 전에 말소리 단어에 대한 어휘 판단을 먼저 했다. 말소리 단어들 중 일부는 그림과 무관한 것이다. 다른 것은 그 그름과 의미적으로나 음운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이다. 그림이 제시되고 나서 1000 msec 이내에 말소리 단어가 제시되면 의미적으로 비슷한 단어가 그림의 이름 말하기를 더 어렵게 만드었다. 말소리 단어가 의미적으로 활성화되어 어휘 접근이 이루어진 것이 그 그림에 대한 이름을 선택하는데 방해를 했다. 하지만 말소리 단어가 그림이 나오고 난 다음 600 msec이후에 제시되면 음운적으로 관련된 단어만이 그림의 이름 말하기를 방해하였다
이런 결과를 보면 의미적 활성화의 경함에 영향을 받는 어휘 선택은 산출 과정에서 상당히 초기에 일어난다. 음운적 선택은 비교적 후기에 별도 단계로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음운적 선택만이 음운적 활성화에서 경함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말소리 산출 체계가 단원적인 조직화라고 볼 때 예상되는 결과다.
단어 재인에 관한 자료를 참고하면 한 체계는 특정 방향으로 정보 흐름이 지배적일 때 일부 실험에서 단원적인 것처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시각적인 단어 재인은 하나의 시각적 특질 수준, 한 음운론적인 수준, 한 의미론적 수준에서 분석되는 경우에 한해서 단원적으로 보인다는 증거가 있다. 그런데도 강한 편향 맥락에서는 의미론적 수준의 활성화가 단어 재인의 초기 단계에 이르기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똑같은 생각이 지배적인 정보 흐름이 의미론에서 음운론으로 이어지는 말소리 산출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다른 방향으로 활성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
대화의 요구사항을 관찰하기 (0) | 2022.06.25 |
---|---|
사회적 맥락에서의 대화 (0) | 2022.06.24 |
말소리 산출과 말실수 (0) | 2022.06.22 |
언어 산출 체계의 수준 (0) | 2022.06.21 |
문장처리 연구방법 (0) | 2022.06.20 |